티스토리 뷰

목차

    실업급여 수급 중 알바하면 어떻게 될까?|헷갈리는 기준 쉽게 정리!

    “실업급여 받고 있는데 단기 알바 해도 되나요?”
    “잠깐 일했는데 신고 안 하면 큰일 나나요?”

    실업급여 수급 중에 아르바이트나 단기근로를 하면 수급에 어떤 영향이 있을지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죠.
    이 글에서 실업급여 받으면서 알바 가능한 조건부터 신고 방법, 부정수급 주의사항까지 전부 알려드릴게요.


    실업급여 수급 중 알바, 가능한가요?

    가능합니다. 단, ‘신고’가 전제 조건이에요!
    실업급여를 받는 동안 단기 아르바이트를 하더라도
    그 내용을 정확히 신고하면 수급이 중단되지 않습니다.

    ❗ 신고하지 않으면 ‘부정수급’으로 간주되어 환수 + 불이익 발생!


    알바 신고는 어떻게 하나요?

    고용센터에 ‘근로내역서’를 제출하면 됩니다.

    1. 고용형태(단기근로, 일용직 등) 체크
    2. 일한 날짜, 시간, 급여 명시
    3. 사업주 확인 도장 또는 서명

    💡 근무 후 ‘실업인정일’에 맞춰 제출하면 OK
    워크넷 또는 고용센터 방문/팩스 제출도 가능해요


    실업급여 수급에 영향 주는 기준은?

    ▶ 단기 알바 인정 기준

    근로시간 주 15시간 미만 또는 1개월 미만
    고용기간 단기, 일용직 형태로 1개월 내외
    급여 수준 일정 수준 이하 (최저임금 수준에서 소득공제 적용)

    ✅ 위 기준에 해당하면 ‘구직활동 인정 + 실업급여 유지’
    ❗ 초과 시 → ‘재취업’으로 간주되어 수급 종료


    실업급여가 줄어들 수 있나요?

    네, 수당이 일부 감액될 수 있어요.

    • 단기근로로 벌어들인 소득이 기준액을 초과하면
      해당 기간 실업급여 지급액이 ‘차감’됩니다.

    🧮 예:
    실업급여 60,000원/일 지급 중 → 알바 수당 하루 40,000원 발생
    → 일정 계산식을 통해 일부 공제 후 지급


    실제 사례로 보는 이해

    예시 1) OK 케이스

    • 주 3일, 하루 4시간 카페 알바
    • 실업인정일에 근로내역서 제출
      → 구직활동 인정 + 수급 유지

    예시 2) 위험 케이스

    • 주 5일, 하루 6시간 근무
    • 신고 누락
      → 고용센터 확인 시 부정수급 판정 → 환수 + 최대 5년 제한

    꼭 알아야 할 주의사항

    🔸 신고는 무조건 필수
    🔸 정규직 전환 가능성 있는 경우 ‘재취업’으로 간주될 수 있음
    🔸 여러 알바를 반복해도 신고만 하면 불이익 없음
    🔸 수당 받지 않아도 ‘근로한 사실’ 자체가 중요


    자주 묻는 질문 (FAQ)

    Q. 하루 일한 것도 신고해야 하나요?

    → 네. 하루, 한 시간이라도 ‘근로’라면 반드시 신고해야 합니다.

    Q. 알바하다 정규직 제안 받았어요. 실업급여는요?

    → 정규직 취업은 ‘수급 종료’ 사유. 단, 조기취업수당 대상이 될 수도 있어요!

    Q. 일 안 했는데 친구 가게 잠깐 도와줬는데요?

    → 실제 금전 거래 없더라도 ‘근로 인정’될 수 있으니 조심하세요!


    마무리: 실업급여 수급 중 알바, 핵심은 ‘신고’입니다

    ✔ 알바를 하더라도 신고만 정확히 하면 수급 유지 가능
    ✔ 기준을 초과하는 근무는 ‘재취업’으로 간주될 수 있음
    ✔ 모르면 불이익, 알면 합법적 부수입 OK!

     

    👉 워크넷에서 근로내역서 양식 받아 두고, 미리 준비해두세요.
    👉 막막하면 고용센터 1350으로 전화 상담도 가능!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실업급여 A to Z :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기초가이드

     

    newrun.newrunproject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