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실업급여 얼마 받을까? 계산법과 금액 예측 쉽게 정리!!

실업급여, 도대체 얼마 받을 수 있을까?
직장을 잃고 나면 가장 먼저 궁금한 게 바로 실업급여 수령액이죠.
이 글 하나로 계산 공식부터 예시, 2025년 기준 상·하한액까지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.


실업급여 금액, 어떻게 계산하나요?

기본적으로 **퇴직 전 평균임금의 60%**를 기준으로 하루 단위로 계산합니다.

하루 실업급여 = 평균임금 × 60%

▶ 평균임금이란?

  • 퇴직 전 3개월간의 총 임금 ÷ 총 일수
  • 여기서 '총 임금'에는 기본급 + 수당 포함

2025년 실업급여 지급 상한·하한은?

2025년 기준 실업급여는 아래 범위 내에서 지급됩니다:

1일 최대액 66,000원
1일 최소액 64,192원

※ 하한액은 최저임금 기준으로 해마다 변동돼요


예시로 보는 실업급여 계산

🧮 월 평균 급여가 300만원인 A씨의 경우

  • 일 평균임금: 약 100,000원
  • 실업급여 = 100,000 × 60% = 60,000원
    → 1일 60,000원 × 150일 = 9,000,000원 수령 예상

📌 지급 일수는 경력과 나이에 따라 달라집니다:

고용보험 가입기간 50세 미만 50세 이상
1년 미만 120일 120일
1~3년 150일 180일
3~5년 180일 210일
5~10년 210일 240일
10년 이상 240일 270일

실업급여 계산기 대신 이것만 알아두세요

🔹 평균임금 구하기
🔹 60% 적용 후 상·하한 비교
🔹 지급 일수 곱해서 총액 계산

💡 고용노동부 공식 홈페이지워크넷 계산기를 활용하면 더 쉽게 계산할 수 있어요!

 

 


실업급여 계산 시 주의할 점

  • 반복 수급자일 경우 감액 (2025년부터 적용)
     → 3회 이상 수급 시 최대 50%까지 줄어들 수 있음
  • 단기알바, 재취업 시 바로 신고 필수
     → 안 하면 부정수급으로 환수 + 불이익 발생

결론: 실업급여 예측은 '희망 계산'이 아닙니다

✔ 정확한 평균임금 기준
✔ 60% 적용
✔ 경력에 따른 지급 일수만 알면

 

실업급여 수령액은 누구나 쉽게 예측할 수 있어요!

퇴사 후 막막하셨다면,
지금 바로 계산해보고 어떤 구직 전략이 필요한지 미리 계획해보세요!

 

 

 

실업급여 A to Z :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기초가이드

 

newrun.newrunproject.com